RJ번째 세계 (비교)
알림
현재 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.
r22 vs r23 | ||
---|---|---|
... | ... | |
35 | 35 | || '''타일 수''' ||<-3>14 || |
36 | 36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느린 16분박 패턴 || |
37 | 37 | 박자 자체는 까다로운 박자라고 할 수 있지만, BPM이 느리기 때문에 할만하다. |
38 |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 |
|
39 | 39 | ■□□□|□□□■|□■□□|□□□□ |
40 | 40 | === RJ-2 두 개의 키로 즐기는 리듬게임 === |
41 | 41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2[br]'''{{{+2 두 개의 키로 즐기는 리듬게임}}}'''[br]{{{-1 Two-Button Rhythm Game}}} || |
... | ... | |
45 | 45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30 || |
46 | 46 | || '''타일 수''' ||<-3>32 || |
47 | 47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동시치기 타일 || |
48 | 최초로 동시치기 타일이 등장하는 튜토리얼. |
|
49 | 타일 안에 타일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동시치기 타일이다. |
|
50 | ||
51 | ||
52 | 앞으로 박자 표기에 나오는 동시치기 타일은 {{{#4B5C94 |
|
48 | '''최초로 동시치기 타일이 등장하는 튜토리얼.''' |
|
49 | 타일 안에 타일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동시치기 타일이다. 커스텀 레벨에서 자주 쓰이는 동시치기는 두 타일을 작은 각도로 배치해 거의 동시에 처리하는 식으로 구현했다면, 이 레벨에 등장하는 동시치기 타일은 두 번의 입력을 넣어야 처리가 가능한 방식이다. |
|
50 | 튜토리얼의 트랙 자체는 일자 길이라 클리어가 어렵지 않다. |
|
51 | ||
52 | 앞으로 박자 표기에 나오는 동시치기 타일은 {{{#4B5C94 '''다른 색'''}}}으로 표시한다. |
|
53 | 53 | === RJ-3 몰아치는 브레이크 === |
54 | 54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3[br]'''{{{+2 몰아치는 브레이크}}}'''[br]{{{-1 Stomp Breaks}}} || |
55 | 55 | ||<-6><nopad> [youtube(YpC_RM2TD4U)] || |
... | ... | |
58 | 58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70 || |
59 | 59 | || '''타일 수''' ||<-3>31 || |
60 | 60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동시치기 타일의 응용 || |
61 | 앞선 레벨에 나온 동시치기 타일을 응용한 |
|
61 | 앞선 레벨에 나온 동시치기 타일을 응용한 튜토리얼이다. |
|
62 | 62 | 동시치기 박자만 익히면 쉽게 클리어할 수 있다. |
63 | 박자 |
|
63 |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 |
|
64 | 64 | ■□■□|{{{#4B5C94 ■}}}□□■|□■□□|{{{#4B5C94 ■}}}□□□ |
65 | 65 | === RJ-4 고리 속에서 === |
66 | 66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4[br]'''{{{+2 고리 속에서}}}'''[br]{{{-1 In The Loop}}} || |
... | ... | |
70 | 70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60 || |
71 | 71 | || '''타일 수''' ||<-3>53 || |
72 | 72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반복되는 동시치기 패턴 || |
73 | ||
74 | ||
75 | ||
76 | 이 박자가 5번 반복되다가 마지막에 동시치기 타일의 위치가 살짝 바뀐다. |
|
77 | ||
73 | 앞선 튜토리얼과 마찬가지로 동시치기 타일을 응용한 페턴을 연습하는 튜토리얼이다. |
|
74 | 동시치기 타일이 S굴곡의 90° 타일에 위치해있어 동시치기 타일과 일반 타일을 순서대로 '따닥' 처리해야 한다. 처음 경험할 때 잠깐 헷갈릴 수 있다. |
|
75 | 반복되는 패턴의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 |
|
76 | ■□■□|{{{#4B5C94 ■}}}■□■|□■■□|{{{#4B5C94 ■}}}■□□[* 이 박자가 5번 반복되다가 마지막에 동시치기 타일의 위치가 살짝 바뀐다.] |
|
78 | 77 | === RJ-5 고리 속에서 (심화편) === |
79 | 78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5[br]'''{{{+2 고리 속에서 (심화편)}}}'''[br]{{{-1 The Loop's Brother}}} || |
80 | 79 | ||<-6><nopad> [youtube(VEGaf_OyzVA)] || |
... | ... | |
83 | 82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70 || |
84 | 83 | || '''타일 수''' ||<-3>46 || |
85 | 84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반복되는 동시치기 패턴의 심화 || |
86 | 앞선 |
|
87 | 박자 |
|
85 | 앞선 튜토리얼과 박자가 비슷하지만 BPM이 살짝 빠르고 동시치기 타일이 더 많이 배치되어있다. |
|
86 |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 |
|
88 | 87 | ■□■□|{{{#4B5C94 ■}}}■□■|□■□□|{{{#4B5C94 ■}}}■□{{{#4B5C94 ■}}} |
89 | 88 | === RJ-6 격자 === |
90 | 89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6[br]'''{{{+2 격자}}}'''[br]{{{-1 Lattice}}} || |
... | ... | |
93 | 92 | [[파일:tutorj-6.png]]}}} || |
94 | 93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3>190 || |
95 | 94 | || '''타일 수''' ||<-3>38 || |
96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격자 모양 동시치기 패턴|| |
|
97 | 동시치기 타일 |
|
98 | 박자 |
|
95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격자 모양 동시치기 패턴 || |
|
96 | 트랙이 꺾이는 지점마다 동시치기 타일이 배치된 격자 모양 패턴을 연습하는 튜토리얼이다. |
|
97 | 동시치기 타일이 굉장히 많이 섞여있어 헷갈릴 수 있다. 주 패턴이 3번 반복된 이후엔 살짝 다른 박자가 나오니 조심해야 한다. |
|
98 | 주 패턴의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 |
|
99 | 99 | ■□■□|{{{#4B5C94 ■}}}■□■|□{{{#4B5C94 ■}}}■□|{{{#4B5C94 ■}}}■□{{{#4B5C94 ■}}} |
100 | 이 패턴이 3번 반복된 이후에 살짝 다른 박자가 나오는 것도 조심해야 한다. |
|
101 | 101 | === RJ-7 낚싯바늘 === |
102 | 102 | ||<table align=left><-6><tablewidth=400><colbgcolor=#30346A><table bordercolor=#AA3F84><colcolor=#F4CAA0>RJ-7[br]'''{{{+2 낚시바늘}}}'''[br]{{{-1 Fish Hooks}}} || |
103 | 103 | ||<-6><nopad> [youtube(zr5hTvjhi3E)] || |
... | ... | |
107 | 107 | || '''타일 수''' ||<-3>40 || |
108 | 108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3>사각형, 엇박, 유턴 패턴 || |
109 | 109 | RJ-1과 함께 동시치기 타일이 나오지 않는 튜토리얼이다. |
110 | ||
110 | 참고로 메인 레벨에서는 이 튜토리얼과 다르게 패턴이 뒤집힌 형태로 등장한다. |
|
111 |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 |
|
111 | 112 | ■□■■|■■□■|□■□■|■■□□ |
112 | 113 | == RJ-X Fear Grows == |
113 | 114 |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<nopad><width=8.3%> || |
... | ... | |
122 | 123 | ||<-12><bgcolor=#30346A><nopad>'''{{{+1 {{{#F4CAA0 | 난이도}}}}}}''' || |
123 | 124 | ||<-4> {{{-1 [[https://docs.google.com/spreadsheets/d/1Zdcrfwxbuew1DE8WYm2geTHYEQii288P07dokyZ2NlU/edit?gid=1992961051#gid=1992961051|난이도 시트]]}}}[br]'''{{{+4 -}}}''' ||<-4> {{{-1 ADOFAI.gg}}}[br]'''{{{+4 -}}}''' ||<-4> {{{-1 TUF}}}[br][[파일:TUF Lv P7.png|width=40]] || |
124 | 125 | == 여담 == |
125 | * 이 세계에 등장하는 동시치기 타일은 상술했듯이 이 세계에서만 등장하는 일회성 기믹인데, 유저들이 커스텀 레벨에서 장식을 이용해 유사하게 구현하는 경우가 많다[* 더군다나 타일 오브젝트 장식 기능이 생겨 구현이 더욱 쉬워졌다.] |
|
126 | * 이 세계에 등장하는 동시치기 타일은 상술했듯이 이 세계에서만 등장하는 일회성 기믹인데, 유저들이 커스텀 레벨에서 장식을 이용해 유사하게 구현하는 경우가 많다.[* 더군다나 타일 오브젝트 장식 기능이 생겨 구현이 더욱 쉬워졌다.] |
|
126 | 127 | [[분류:공식 레벨]] |